대사증후군
-
대사증후군 진단기준 및 원인, 관리방법건강지식 2022. 6. 22. 00:11
(1) 의의 대사증후군(metabolic syndrome)은 1988년 G. 리븐에 의해 X-증후군이라는 이름으로 발견됐다고 한다. 1998년 세계보건기구가 '대사증후군'으로 부르기 시작했다. 대사증후군은 복부비만과 함께 고혈압, 당뇨병, 고중성지방혈증, 낮은 고밀도콜레스테롤혈증 등 각종 대사적 위험요인들이 동시다발적으로 나타나는 상태이다. 대사증후군은 증상이 없어 치료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지만 대사증후군이 있는 경우 뇌졸중, 허혈성 심혈관계 질환 등의 발생 빈도와 사망 위험이 약 4배 증가하며 당뇨병의 발생 위험도 3~5배 정도 증가하고 각종 암에 의한 사망률도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. (2) 대사증후군 유병률 우리나라 대사증후군은 지난 10여 년간 매우 증가하였다. 특히 나이가 많을수록 유병률..